- 연안사고 예방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 강조
- CCTV·드론·마을방송 활용한 늦여름 대응 대책도 집중 논의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29일, 여름철 연안해역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행정안전부, 해양수산부 등 9개 중앙부처와 부산시·제주도 등 연안 지역 11개 광역지자체가 참여한 가운데 ‘중앙 연안 사고예방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연안사고 감소를 위한 중앙·지방 정부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정책 공유와 실질적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4년 연안사고 현황, 각 기관의 안전정책 및 우수사례 공유, 그리고 2025년 중점 추진 방향과 협업 방안 등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올해도 폭염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해수욕장과 해변을 찾는 피서객들의 방문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상 상황을 반영한 해수욕장 개장기간 조정, 치안수요에 따른 순찰 강화, 드론·CCTV·마을방송 등 기술 기반 안전 홍보의 확대 등 늦여름 안전관리 대책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연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관 간 협력 방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으며, 국민들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한 민간 참여 확대 방안에 대한 제안도 함께 논의됐다.
안성식 해양경찰청 차장(직무대리)은 “해경과 유관 부처, 지자체가 함께하는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연안 안전망이 더욱 촘촘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구명조끼 착용, 기상과 물때 확인, 2인 이상 활동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꼭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2024년 1월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연안사고는 59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51건) 대비 약 9% 감소했으며, 인명피해(사망·실종)는 118명으로 2023년(120명) 대비 약 2% 줄었다. 해양경찰청은 이를 토대로 여름철 고위험 활동인 물놀이, 낚시, 해루질 등의 사고 예방 대책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