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춘 심장, 다시 뛴 15분'…섬마을 심정지 주민 살린 119 영상 심폐소생술

- 충남 보령 녹도서 심정지 주민 신고…119 영상 지도로 현장 심폐소생술·헬기 이송 ‘삼박자 구조’

충남 보령 녹도서 심정지 주민 신고…119 영상 지도로 현장 심폐소생술·헬기 이송 ‘삼박자 구조’



구급차 한 대 없는 섬마을에서 주민의 멈춘 심장이 15분 만에 다시 뛰었다. 신속한 119 신고와 정확한 영상 응급처치 안내, 기관 간 긴밀한 공조 덕분이다.

충남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쯤 보령시 녹도 마을회관에서 회의를 하던 70대 A씨가 갑자기 쓰러져 의식과 호흡을 잃었다는 신고가 119종합상황실로 접수됐다.


▲ 최진주 소방교 응급처치 안내 사진. 제공=충남도

신고를 받은 송주희 소방교는 위급 상황으로 판단해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전화를 연결했다. 최 소방교는 신고자와의 음성통화를 영상통화로 전환한 뒤, 심폐소생술(CPR) 등 즉각적인 응급처치 지시에 나섰다.

처음 겪는 상황에 당황한 주민들을 진정시킨 최 소방교는 “한 사람만 말하라”며 침착하게 상황을 정리한 뒤, 가슴 압박 위치와 방법 등을 실시간으로 안내하며 심폐소생술을 유도했다. 이어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도 설명해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했다.

신고 접수 15분 만에 A씨는 얼굴을 찡그리며 의식을 되찾았다. 그러나 활력 징후가 불안정해 긴급 이송이 필요했다. 당시 충남 소방헬기는 정비로 출동이 불가능했으나, 충북소방헬기를 긴급 투입해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 A씨를 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으로 옮겼다. 헬기 착륙 후 응급실 이송은 전북소방 구급차가 맡았다.

A씨는 현재 건강을 되찾아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이번 이송은 가장 가까운 상급종합병원이자 심정지와 기저질환 대응이 가능한 원광대병원이 선택됐다.

최진주 소방교는 “주민들의 신속한 신고와 현장 응급처치, 3개 도 소방의 협력이 맞물려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충남지역 심정지 환자 소생률은 2022년 11.3%에서 올해 11.6%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도는 마을회관, 경로당 등에서 주민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을 확대해 위급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