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산둥성 교류협력포럼 성황리에 마무리

- 한·중 해양산업 협력의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지식교류의 장 마련

- 한·중 해양산업 협력의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지식교류의 장 마련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주칭다오대한민국총영사관, 산둥성 상무청이 주최하고 산둥사회과학원 해양경제문화연구원과 공동 주관하는 『제4회 한-산둥성 교류협력포럼』을 7월 3일(목) 중국 현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 제4회 한-산둥성 교류협력포럼 행사 사진. 제공=KMI

이번 포럼은 지정학적 격변기와 경제안보 시대 속에서 한국과 산둥성 간의 해양산업 협력을 미래지향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마련되었다. 해양수산, 해운물류항만, 해양관광, 해양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산·학·연·정 관계자 등 한·중 양측에서 약 100여 명이 참석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포럼은 △해양수산 △해운·항만물류 △해양관광 △해양에너지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되어, 양국 전문가들의 사례 중심 발표가 이어졌다.

해양수산 세션에서는 한국어촌어항공단 이요셉 실장이 ‘지속가능한 어장 활용을 위한 청정어장 재생사업’을 소개하며 환경친화적 양식 기반 조성과 어장 회복력 제고 전략을 제시했고, 페이서우청 산둥 메이쟈(美佳)그룹 부총재는 산둥의 해양식품 가공 산업 현황과 한국과의 공동 개발 및 유통 협력 가능성을 강조했다.

해운·항만물류 세션에서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나영환 전략기획실장이 한국의 국제물류산업 여건을 설명하며 항만 간 연계운송 확대 및 디지털 물류 협력 등을 제안했으며, 왕성 산둥사회과학원 부원장은 산둥 강항(港航)물류 시스템의 발전과 한중 간 항로 연계, 해상운송 효율화 방안을 발표했다.

해양관광 세션에서는 한국크루즈포럼 심상진 부회장이 한국의 크루즈산업 육성전략을 소개하고 산둥성과의 정기 항로 개설 및 관광 콘텐츠 공동 개발을 제안했으며, 츠융제 카이사(CAISSA)관광그룹 동사장은 산둥의 해양문화관광 발전 현황을 소개하며, 크루즈 교류 및 복합관광벨트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양에너지 세션에서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정여진 부연구위원이 블루카본 생태계의 탄소 저감 기능과 국제 탄소크레딧 활용 방안을 설명했으며, 천펑윈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 연구원은 산둥 해양에너지 개발 현황과 기술 협력 확대 방향을 제시했다.

총평에서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황진회 부연구위원과 쉬광핑 산둥사회과학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분야별 협력 방안의 핵심 요지를 정리하고, 향후 협력 프레임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축사를 통해 “산둥성과 한국은 황해를 사이에 둔 해양 협력의 최적 파트너이다”고 말하며 “항만물류, 수산가공, 블루카본, 스마트양식, 해양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의 전략적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KMI도 플랫폼과 지식 기반을 적극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포럼이 정책, 제도, 기술, 산업 전반에 걸친 해양 협력의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하며 KMI는 앞으로도 산둥성과의 우의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해양 파트너십을 견인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