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원, 고수온 대응 사전 점검 실시

- 수온 가파르게 상승, 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자체 점검 회의 개최
- 수온 2~4℃ 급상승…국립수산과학원, 전국 권역별 모니터링·사전대응 체계 점검

- 수온 가파르게 상승, 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자체 점검 회의 개최

수온 2~4℃ 급상승…국립수산과학원, 전국 권역별 모니터링·사전대응 체계 점검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이 올여름 우리 바다에 고수온 현상이 예년보다 빠르고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긴급 대응체계를 가동했다.


▲ 고수온 대응 사전 점검 회의 / 사진제공=수과원

수과원에 따르면 지난 주말부터 이어진 전국적인 폭염의 영향으로 서해, 남해 중·서부와 제주 연안의 수온이 불과 5~6일 만에 일평균 24℃가량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달 28일과 이달 3일 기준 주요 관측소의 수온 변화를 보면 서산 창리는 23.0℃에서 25.9℃, 제주 중문은 22.1℃에서 25.6℃, 여수 신월은 23.5℃에서 26.8℃로 각각 올랐다.

고수온 특보는 수온이 25℃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면 예비특보가 발령되고, 28℃ 도달 시 주의보, 28℃ 이상이 3일 이상 지속되면 경보로 격상된다.

수과원은 본원에서 자체 대응 회의를 열고, 수산재해대응팀과 동해·서해·남해·남동해·부산·울산·제주·내수면 등 권역별 고수온 대응반 100여 명이 참여해 실시간 수온 모니터링과 해양예측 정보를 공유했다.
아울러 해수부와 고수온 위기경보 발령 체계, 지자체·수협 등 유관기관과의 비상연락망을 점검하고, 권역별 우심해역 사전대책과 피해 발생 시 복구 지원 방안도 재확인했다.

특히 오는 7월 중순에는 고수온 피해가 우려되는 완도·통영 등 양식시설 밀집 해역과 과거 피해 해역을 중심으로 양식생물 관리요령을 전파하고, 어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할 예정이다.

최용석 원장은 “올해도 장마 이후 폭염으로 고수온 발생이 예상된다”며 “양식 현장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수온 대응 요령을 사전에 숙지하고 철저히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