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K-eco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 본격 가동

- 미래 물순환 강화와 디지털 물관리 대전환 중심의 ‘K-eco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 본격 가동
- 기존 전략을 보완하여 4대 추진전략과 13개 핵심과제를 통한 ‘자연과 인간이 함께 누리는 물순환’ 비전 실현

- 미래 물순환 강화와 디지털 물관리 대전환 중심의 ‘K-eco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 본격 가동
- 기존 전략을 보완하여 4대 추진전략과 13개 핵심과제를 통한 ‘자연과 인간이 함께 누리는 물순환’ 비전 실현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유역 기반 물환경 관리 개선과 디지털 전환 등 통합물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K-eco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공단은 기존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 2030’을 보완한 전략을 통해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위상을 제고함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물순환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K-eco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은 ▲ 물순환 전과정 유역물관리 강화, ▲ 유역 물환경 지속가능성 증진, ▲ 물인프라의 기후변화 대응력 향상, ▲ 물관리 디지털 대전환 지원 등 4대 추진전략과 13개의 핵심과제로 구성된다.
특히 물기술 혁신 인재 양성 등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통합물관리 분야 디지털 역량 강화를 로드맵에 반영하여 물관리 전과정 스마트화의 마중물 역할을 하기 위한 계획도 반영되었다.
공단은 새롭게 정비된 로드맵을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 물부족 대비 재이용수 공급 체계 구축 등 물순환 전과정에 대한 보다 나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한편, 공단은 2022년 7월 ‘통합물관리 중장기 로드맵’의 최초 수립하여 ‘자연과 인간이 함께 누리는 물순환 구현’이라는 물환경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이를 통해 유역하수도지원센터 운영하여 유역별 맞춤형 하수도 기술지원 기반을 마련하고, 수질오염 사고 대비 방제 역량 강화와 인프라 확대를 위한 통합방제센터 구축 등 가시적 성과를 내었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정부 정책을 적극 반영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국민이 중심되는 지속가능한 물관리 전략을 적극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