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2019~2023)간 안전사고 899건, 연안자망어업에서 안전사고 다발
봄철 성어기를 맞아 전국에서 어선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최근 5년(2019~2023) 간 바다에서 사망하거나 실종한 사고 대다수가 안전불감증으로 인재(人災), 즉 안전사고 때문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통해 최근 5년(2019~2023년)간 발생한 안전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89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인해 총 330명이 사망하거나 실종한 것으로 파악했다. 전체 안전사고 사망‧실종자(330명) 중에서도, 조업 등 ‘작업 중 안전사고’로 사망하거나 실종한 경우는 총 203명이었다.
최근 5년간 전체 해양사고는 총 14,802건으로 이중 안전사고(899건)가 차지하는 비중은 6.1%에 불과했으나, 조업 등 ‘작업 중 안전사고’에 따른 사망‧실종자(203명)는 전체 해양사고 사망실종자(537명)의 37.8%에 달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조업 등 ‘작업 중 안전사고’로 인한 치사율도 22.6%로, 다른 사고 유형들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이는 조업 등 ‘작업 중 안전사고’ 10건당 사망‧실종자 2~3명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최근 5년간 ‘작업 중 안전사고’로 사망‧실종자가 발생한 가장 큰 원인은 어구나 로프 등에 의한 신체 가격으로, 전체의 21.2%(43명)를 차지했다. 이어 어구나 줄 감김에 의한 해상 추락이 20.2%(41명), 나홀로 조업 중 사망‧실종한 경우가 19.2%(39명) 순으로 파악됐다.
특히 조업 환경이 열악한 어선에서 작업 중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가 많았다. ‘작업 중 안전사고’에 따른 전체 사망‧실종자(203명)의 83.2%(169명)가 어선에서 발생했다.
어선 중에서도 ‘작업 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어업 업종은 소형어선 중 주로 그물을 이용해 조업하는 ‘연안자망어업’으로 전체(169명)의 18.3%(31명)을 차지했다. 이어 연안복합어업과 근해안강망어업이 각각 10.1%(17명), 근해자망어업이 7.1%(12명) 연안개량안강망어업이 6.5%(11명) 등으로 나타났다.
조업 중 그물을 끌어 올리다가 신체가 기계에 끼이는 양망기 사고가 많았고, 그 밖에 던지던 그물에 발이 감겨 바다에 빠지거나, 조업 중 당기는 힘이 큰 어구나 로프 등에 맞아 바다로 추락해 사망 혹은 실종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단은 조업 중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그물을 끌어 올리는 기계인 양망기 사용 시 2인 1조 작업을 반드시 준수해 비상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상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투망 중 어구, 로프에 감기지 않도록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어로 장비에 의한 타격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조업 전 위험구역을 확인하고, 안전모 같은 안전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단은 최근 잇단 어선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달까지 해양안전 특별대책 본부를 운영하고, 해양수산부와 함께 나홀로 조업어선 등 안전취약 선박을 대상으로 구명조끼 같은 안전 물품을 무상 보급하고 있다. 또한 그동안 안전 사각지대에 놓였던 어선원의 자율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았다.
현재 공단은 어업인들의 자발적인 선박 안전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조업 현장에 어선안전 재해사고 예방 매뉴얼 등을 배포하고,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누리집을 통해 ‘우리 선박 관리‘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어업인의 소중한 생명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면서 “해상 어업 활동은 위험 요인이 큰 만큼, 조업 현장에 자율 안전관리체계가 공고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교육, 안전물품 보급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