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가을철 해양사고‧인명피해 최다 … 겨울철엔 인명피해 발생률 가장 높아
- 해수부 장관 지정 특별 계도기간 맞춰 공단 경영진 참석 전국 순회 현장간담회 개최
- 사고유형별 고위험 선박관리와 빅데이터 기반 위험예측으로 맞춤형 안전대책 본격 가동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가을·겨울철 해양사고 위험이 집중되는 계절적 특성에 맞춰 맞춤형 안전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9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공단은 해양수산부의 ‘가을철 해양사고 예방대책’ 및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특별 계도기간(9~11월)’과 연계해 사고 예방 총력전에 나선다.
최근 5년간(2020~2024) 발생한 해양사고 1만5,086건 가운데 31.6%(4,762건)가 가을철에 집중됐다. 사망·실종자도 가을에만 179명(29.7%)으로 다른 계절 대비 가장 많았다. 어선 출어 척수와 낚시어선 이용객이 급증하는 시기와 맞물려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겨울철은 전체 사고 건수(2,923건)는 적지만, 사망·실종 발생률이 3.9%로 가장 높았다. 저수온 특보 발령일수가 최근 5년 사이 4배 이상 늘어난 것도 치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KOMSA는 ▲고위험 선박 집중 관리 ▲현장 중심 안전활동 강화 ▲빅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등 3대 전략을 추진한다.
우선, 안전사고 다발업종 선박, 원거리 근해어선, 전기설비 사용이 많은 선박 등 사고 유형별 고위험 선박 700척을 지정해 맞춤형 점검과 교육을 실시한다. 현장 의견을 반영한 안전물품도 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9~11월 특별 계도기간 동안 김준석 이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직접 통영·여수·인천 등 6개 어업 현장을 방문해 해양안전 간담회를 개최한다. 선박검사와 연계한 안전점검, 내·외국인 선원 대상 교육자료 보급도 병행한다.
아울러 공단은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해 선박안전등급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해양사고 위험지수’를 개발해 사고 가능성이 높은 선박을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현장 어업인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해양사고 저감의 출발점”이라며 “정책·기술·현장을 아우르는 예방대책으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바다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