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라보며 마음 치유…『어멍(魚멍): Among fishes』 특별전

- 국립중앙과학관, 물고기 생태·과학·예술 결합 전시로 해양치유 메시지 전한다

- 국립중앙과학관, 물고기 생태·과학·예술 결합 전시로 해양치유 메시지 전한다



국립중앙과학관이 오는 5월 13일부터 6월 22일까지 생물탐구관에서 개최하는 『어멍(魚멍): Among fishes』 특별전은 단순한 생태 전시를 넘어, 물고기와 바다에서 영감을 얻은 과학기술과 인간의 삶을 연결하며 관람객에게 치유와 사색의 시간을 제공한다.



전시 제목 『어멍(魚멍)』은 제주 방언으로 ‘엄마’를 뜻하는 ‘어멍’과 물고기(魚)를 결합한 것으로, 최근 ‘~멍(멍하게 바라보기)’ 문화까지 반영해 기획됐다. 전시 관계자는 “물고기와 바다를 바라보며 자연의 치유력을 느끼고, 마음을 쉬어가는 특별한 전시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전시는 ▲생물학적 탐구 ▲과학기술적 접근 두 축으로 나뉜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제공한 민물고기 세밀화 20종과 화석, 표본들은 어류 고유의 자연미와 생태적 가치를 되새기게 한다. 관람객은 물고기의 이석(귀돌)을 통해 나이를 알아보는 과학적 과정도 체험하며, 자연과 과학이 연결되는 경이로움을 발견한다.

특히 ‘어멍 공간’으로 마련된 살아 있는 민물고기 전시존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물고기와 교감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해양치유의 공간으로 설계됐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협조한 이 공간은 어류 애호가뿐 아니라 일반 관람객도 물고기의 생명력에서 심리적 위안을 얻을 수 있도록 꾸며졌다.

첨단 과학기술 전시에서는 물고기의 생체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감각 센서, 연어 추출 조직재생 물질을 이용한 점안제, 상어의 호흡 구조에서 착안한 열차 폭발음 저감 기술 등 총 3건의 혁신 성과가 소개된다. 이는 해양생물의 생태가 단지 관찰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편안함, 치유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는 민물고기 및 연근해 어류 보호를 주제로 한 특강과 원탁 회의가 열려, 시민이 직접 생태 보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토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5월 23일에는 국립수산과학원과 국립중앙과학관 간의 업무협약(MoU)이 체결돼, 미래 세대를 위한 수산과학 대중화와 교육 협력이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장은 “물고기는 우리에게 자연의 신비로움과 더불어 과학, 기술, 그리고 인간과의 깊은 연결을 일깨운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과학적 호기심을 충족할 뿐 아니라 물고기와 바다의 이야기를 통해 마음을 다독이고 치유받는 특별한 경험을 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시와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