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물류 활성화 TF 가동…컨테이너 수출입 활력 찾는다

- 올해 1분기 물동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장 주관 회의 개최
- 물동량 처리 현황 공유 및 물동량 증대 방안 논의

- 올해 1분기 물동량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장 주관 회의 개최
- 물동량 처리 현황 공유 및 물동량 증대 방안 논의



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는 14일 인천 연수구 공사 사옥에서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4곳과 함께 ‘인천항 수출입 물류 활성화 TF 회의’를 열고, 물동량 감소 대응책을 논의했다.


▲ 1분기 물동량 실적 및 2분기 마케팅 계획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인천항만공사

공사에 따르면 인천항은 지난해 355만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기준)를 처리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나, 올해 1분기(4월 10일 기준 가통계) 물동량은 80만TEU로 전년 동기 대비 7.7% 감소했다.

공사는 물동량 감소 원인으로 고환율과 글로벌 경기침체,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선 가능성에 따른 보호무역 관세 우려 등을 꼽았다. 이에 따라 각 터미널의 현장 상황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날 TF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인천항만공사,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해 1분기 실적을 점검하고 물동량 증대 방안을 논의했다.

공사는 특히 ▴기관장 중심 비상대응체계 구축 ▴터미널·선사 대상 맞춤형 모니터링 강화 ▴중고차, 전자상거래, 씨앤에어(Sea&Air) 등 특화화물 마케팅 확대를 주요 대응전략으로 제시했다. 씨앤에어는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을 연계한 방식으로, 해상의 경제성과 항공의 신속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운송 모델이다.

이경규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오늘 논의된 대책들이 현장에서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적극 협업하겠다”며 “내달 예정된 미주지역 물동량 유치 공동 마케팅을 비롯해 선사, 터미널과 함께 수출입 물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