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서양화 현상의 서북극해 확장 최초 확인...해빙 감소와 생태계 변화 가능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해 대서양화 현상’(이하 ‘대서양화’)이 태평양과 접한 서북극해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서양화(Atlantification)는 대서양 바닷물의 북극해 유입이 증가하면서 따뜻하고 짠 해수의 특성이 확산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북극해의 수온과 염분이 상승하며, 특히 표층까지 열이 도달하면 바다 얼음(해빙) 감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극지연구소 조경호ㆍ정진영ㆍ양은진 박사 연구팀은 미국 알래스카 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2017년부터 7년간 서북극해 동시베리아해에서 한국형 장기계류관측시스템을 운영하며 대서양화가 강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서양화의 영향을 받은 고온·고염의 바닷물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 북극해 중층부에 위치하는데, 연구팀이 관측한 결과 2000년대 초와 비교해 지난 20년간 고온·고염 바닷물층 상단이 약 90m 상승했다. 이는 대서양화가 북극해 반대편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연 단위 장기 관측 사례다.
또한, 연구팀은 대서양화가 영양염을 표층으로 운반하며 해양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영양염이 풍부해지면서 해양 표층의 일차생산자(식물플랑크톤, 해빙 미세조류 등)의 번성과 해양 생산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 연구개발(R&D)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2월 게재됐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연구는 접근이 어려운 서북극해 지역의 변화를 우리 독자 기술로 심층 분석한 사례로, 북극이 직면한 해빙 감소와 해양생태계 변화를 보여준다”며 “앞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극지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