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물 질병 연구 자원 분양 확대

- 3월부터 12종, 13개 균주 제공, 수산생물 질병 연구 및 백신 개발 지원

- 3월부터 12종, 13개 균주 제공, 수산생물 질병 연구 및 백신 개발 지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3월부터 수산생물병원체 자원 분양을 기존 10종 10개 균주에서 12종 13개 균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가되는 분양자원은 분양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분양 수요가 많은 3개 균주를 선정하였다.


▲ 수산미생물자원 분양 균주 13종(사진.제공=수과원)


수과원은 어류, 갑각류, 패류 등 양식생물의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와 양식환경에 서식하는 다양한 수산 미생물을 수집·보존하는 기관으로, 2002년부터 약 7,700주의 미생물을 확보해 관리하고 있다.

2005년 3종 3개 균주를 처음으로 분양한 이후, 2014년 7종 7개 균주, 2023년 10종 10개 균주, 2025년 12종 13개 균주로 분양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수과원이 분양하는 균주는 대학, 연구소, 제약업체 등에 무상으로 제공되며, 질병 연구뿐만 아니라 진단법 및 의약품(진단키트, 백신, 치료제 등) 개발 등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해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꾸준히 성장함에 따라 정부에서도 동물용 의약품을 종자, 미생물, 식품 소재 등과 함께 그린바이오산업으로 지정하고 관련 산업진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미생물자원의 분양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수과원은 분양자원과 함께 분양자원의 수집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올해 9월부터는 전장유전체(생물체 전체 유전정보)에 대한 해독 정보를 공개하여 연구자들이 더욱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분자진단 워크숍을 개최해 수산생물질병 검사기관의 미생물자원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수과원이 분양하는 미생물자원이 다양한 연구개발에 활용되어 양식 현장에서 질병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및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분양자원을 확대하고,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