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회 해양바이오산업 위원회 개최…5개년 기본계획 수립, 기반 시설·법제화 필요성 제기
완도군은 지난 26일 완도해양치유센터에서 ‘제4회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위원회 회의 및 토론회’를 열고 해양바이오산업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신우철 완도군수와 전라남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식품연구원 등 해양바이오 관련 기관과 학계, 기업 관계자 22명이 참석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완도군 해양바이오산업 5개년 기본계획(2026~2030) 추진 현황을 보고했으며, 이어 장덕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래전략연구센터장이 ‘해조류 완전 이용 기반 시설 확보’를 주제로 발표했다. 장 센터장은 “해조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줄기와 잎 등 이른바 세컨드 컷을 산업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대량 생산과 자원 순환을 지원할 기반 시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해양바이오 기반 시설 간 협력 체계 마련, 권역별 협력 지구 연계, 해조류 가공·활용 시설 확충 방안 등이 논의됐다. 손영곤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은 “전남도는 해양수산 창업 투자 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창업과 제품 개발,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해양바이오 유망 기업 발굴과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상훈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해부터 시행된 그린바이오 육성법에 따라 농식품부가 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며 “해양바이오 산업도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전남도와 완도군이 관련 법 제정에 힘써달라”고 제언했다.
신우철 완도군수는 “5개년 계획에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완도만의 차별화된 정책을 마련하겠다”며 “전국 단위의 해양바이오 소재 공급 기지를 구축해 산업화 성공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완도군은 2020년 7월 기초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시행해 창업 기업 지원과 기반 시설 확충을 추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