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에어백·AI CCTV·응급구조함 등 보급… 총 31억 원 투입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항만하역장 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 대상으로 67개 사업장을 선정, 스마트 에어백, AI 기반 CCTV, 응급구조설비 등 안전장비 설치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2년 시행된 ‘항만안전특별법’에 따라 도입됐으며, 평택항 청년 노동자 사망 사고를 계기로 항만 근로자 안전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시작된 제도적 대응책이다.
올해는 국비 19억 원, 항만공사 부담금 12억 원 등 총 31억 원이 투입되며, 부산·울산·여수광양·인천 등 항만공사 관할 주요 항만의 경우 항만공사가 국비의 25%를 부담해 민관 협력 모델로 추진된다.
올해 사업에는 총 74개 업체가 지원서를 제출, 전문가·학계·노동계로 구성된 사업평가단의 심사를 거쳐 67개 사업장이 최종 선정됐다. 평가 기준은 사고 예방 효과, 실효성, 항만 사고 발생 빈도 등이 반영됐다.
대표적인 지원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스마트 에어백: 고소 작업 중 추락 시 자동 팽창해 인체를 보호하며,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문자·전화로 긴급 통보. ▲ 응급구조함: 크레인에 부착되어 구조 인력이 신속히 선박에 진입, 선내 응급 대응 속도 향상. ▲ AI 기반 CCTV: 항만하역장에서 중장비 주변 사람을 자동 인식해 운전자에게 경고, 사각지대 사고 방지에 효과.
해수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3년간 총 11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177개 사업장의 안전장비 설치를 지원해 왔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항만은 24시간 운영되는 고위험 작업환경인 만큼,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예방 중심의 투자가 필수”라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지원으로 안전한 항만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