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군산·여수·울산·원주 ‘예비국제회의지구’ 선정…국제회의 산업 균형 발전 기대

- 국제회의 개최 역량 보유 중소도시 지원하는 ‘예비국제회의지구’ 신설, 공모로 선정
- 최대 3년간 국제회의 활성화 기반 마련 지원, 경쟁력 있는 국제회의 도시로 육성

- 국제회의 개최 역량 보유 중소도시 지원하는 ‘예비국제회의지구’ 신설, 공모로 선정
- 최대 3년간 국제회의 활성화 기반 마련 지원, 경쟁력 있는 국제회의 도시로 육성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지역 기반의 국제회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공모 절차를 거쳐 군산, 여수, 울산, 원주(가나다순) 등 4개 지역을 ‘예비국제회의지구(이하 예비지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예비지구’ 제도는 ‘제5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2024~2028)’에 따라 기존 광역도시 중심의 ‘국제회의복합지구’를 중소도시로 확대하는 취지로 신설됐다. 이를 통해 국제회의 개최 역량을 갖춘 지역을 지원하고, 국내 국제회의 산업의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 현재 국제회의복합지구는 경기 고양, 인천, 광주, 부산, 대구, 대전, 경북 경주 등 7곳이 지정되어 있다.

문체부는 지난 2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으며, 서면 심사와 현장 실사, 사업계획 발표,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4개 지역을 예비지구로 확정했다.

선정된 지역들은 중대형 회의시설을 중심으로 숙박시설, 박물관·미술관, 공연장 등 다양한 집적 시설과 연계되어 있어 향후 국제회의복합지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문체부는 예비지구가 국제회의 활성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대 3년간(2년 지원 후 평가를 거쳐 1년 추가 지원) 국비를 지원한다. 예비지구는 ▴홍보·마케팅 및 관광상품 개발 ▴국제회의 참가자 편의 지원(안내 체계 개선 등) ▴지구 내 민관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국제회의 유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문체부 김근호 관광산업정책관은 “예비지구 도입을 통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국제회의 기반을 마련하고, 우리나라가 글로벌 마이스(MICE)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