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인가구 생활꿀팁 바구니’ 등 2025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 마련
경기도는 도내 171만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이같은 내용의 ‘2025년 경기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6일 밝혔다.
총 9,615억 원(국비 7,865억 원·도비 852억 원·시군비 898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시행계획은 1인가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종합계획으로 ▲외로움 ▲주거 ▲안전․건강 ▲추진체계 등 4개 영역에서 41개 과제로 구성됐다. 특히 올해는 정책 확대에 중점을 두고, 더 많은 시군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처음 추진하는 ‘1인가구 생활꿀팁 바구니’는 도내 1인가구에게 필요한 빨래, 청소, 정리수납 등에 관한 생활꿀팁 강의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상반기 내 대상자를 모집할 예정으로, 도는 1인가구의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자기돌봄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경기도 1인가구 기회밥상’을 통해 다양하고 특색있는 식생활 관련 체험 및 소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정부의 취약·위기가족 지원사업인 온가족보듬사업의 1인가구 교육·문화 프로그램으로 1인가구의 정서·경제적 자립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경기도 내 지역 특성을 반영한 ‘1인가구 자유주제 제안사업’은 2024년 12개 시군에서 올해는 22개 시군으로 확대 추진한다. 찾아가는 1인가구 정리수납, 공동텃밭 활용, 반려동식물 프로그램 등 시군별 다양한 주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1인가구의 병원 동행과 접수·수납 등을 지원하는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2023년 5개 시군에서 시작해 지난해 10개 시군에 이어 올해는 안성시 등 11개 시군으로 확대된다.
그 밖에 ‘365 안부확인 AI케어’,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 등 1인가구에게 필요한 분야별 정책들이 포함됐으며, 이같은 사업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정책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1인가구를 위한 식생활 개선 다이닝, 건강돌봄 프로그램, 중장년 수다살롱, 금융안전 교육 등을 추진해 총 1만2,485명이 참여했으며, 평균 만족도 4.8점(5점 만점)으로 이용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은 동행지원 3,837건, 유사서비스 연계 189건, 상담 4,471건을 진행했으며, 1인가구 전세사기 피해 방지를 위한 ‘1인가구 주거안전 체크리스트’ 개발·보급, 1인가구 밀집지역 방범시설물 설치, ‘1인가구 지원사업 우수사례집’ 제작·배포 등을 추진했다.
자세한 1인가구 관련 정책은 ‘경기도 1인가구 포털(www.gg.go.kr/1ingg)’을 통해 지역별, 연령별, 영역별 맞춤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