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선상 낚시 70% 증가… 충돌사고 인명피해 절반 차지, 모바일 앱 활용 강조
국내 낚시 인구가 720만 명을 넘어서는 가운데, 낚시어선을 이용하는 선상 낚시객이 지난 10년간 70% 증가하며 연간 500만 명(2024년 496만 명) 시대에 들어섰다. 특히 가을철 성수기(9~11월)에만 전체 이용객의 3분의 1 이상인 155만 명이 집중되면서, 안전 관리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낚시어선 이용객은 2015년 295만 명에서 지난해 496만 명으로 늘었다. 같은 해 10월 이용객만 56만 3천 명에 달하는 등 가을철 출항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낚시산업 규모도 2023년 기준 2조 7천억 원을 넘어서며 어촌 경제와 여가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안전한 낚시 활동을 위해서는 기본 수칙 준수가 필수다. 승객은 구명조끼와 미끄럼 방지 신발을 반드시 착용하고, 기상과 물때를 확인해야 한다. 선장은 출항 전 안전장비를 점검하고, 기상 악화 시 출항을 취소해야 한다.

또한 해양교통안전정보(MTIS), 해(海)로드, 바다내비, 낚시해, 조업정보알리미 등 모바일 앱을 활용하면 사고 위험 해역, 기상, 항로 탐색, 긴급구조 요청 등 다양한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선상 낚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며 연간 약 500만 명(496만 명) 시대를 맞이한 만큼, 가을철 낚시어선 출항이 집중되는 시기에 해양사고 예방에 대한 경각심이 절실하다”며, “구명조끼 착용은 기본이고, 다양한 해양안전 모바일 앱(MTIS·해(海)로드·바다내비, 낚시해(海) 등)을 활용해 안전한 낚시 문화를 함께 지켜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