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 인공지능(AI) 프로토타입 개발 내용 공유 세미나’개최
- 창의적 사고에 집중할 수 있는 연구환경 구축에 선제적으로 나선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8월 27일(수) 개발원 컨퍼런스룸에서 ‘KMI 연구용 인공지능(AI) 프로토타입 개발 내용 공유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챗봇 활용 매뉴얼 교육도 함께 진행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23년 인공지능(AI) 활용 TF를 출범한 이후, 2024년부터 3년간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연구지원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이번에 선보인 프로토타입은 개발원이 축적한 연구보고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KMI 특화 검색 증강 생성(RAG) 시스템’으로, 연구자의 업무 효율성과 분석 역량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단순 키워드 검색을 넘어 지식 그래프를 활용해 보고서의 맥락과 논리 구조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자체 임베딩 모델을 구축해 외부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인공지능(AI) 연구모델 개발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우리의 지식과 업무 방식을 AI 시대에 맞게 재설계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말하며 “AI가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업무를 담당함으로써 연구진이 보다 심층적인 분석 업무와 창의적 사고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주제발표에서는 이번 사업을 총괄한 마창모 수산연구본부장 및 전체 프로토타입을 설계한 김도훈 데이터위버 대표가 시스템 개발 배경과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마창모 본부장은 “이번에 개발된 인공지능(AI) 챗봇은 단순한 검색 도구를 넘어 연구자가 새로운 아이디어와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연구 파트너’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26년까지 영상, 오디오 등 멀티모달 데이터 분석 기능을 통합하고, 시스템을 전사적으로 확산해 연구자 맞춤형 인공지능(AI) 활용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