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주도 2.0·추자도 대규모 단지 추진… 기후위기 대응과 주민 참여 강조
국내 최초 풍력발전지인 제주특별자치도가 풍력개발 50년의 성과를 돌아보고, 해상풍력의 메카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산업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1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풍력 개발 50년, 제주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대한민국 풍력발전의 출발지인 제주의 반세기 여정을 되짚고, 해상풍력 확대를 위한 정책과 에너지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제주도가 주최하고 곽상언·김동아·김정호·김한규·문대림·송재봉·위성곤·허성무 국회의원이 공동 주관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제주는 1975년 제동목장에서 국내 최초 육상풍력발전을 시작해 50년 역사를 이어왔다”며 “2006년 탐라해상풍력 발전 허가로 해상풍력도 국내에서 처음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도는 민선8기 도정에서 탄소중립 달성 시기를 2050년에서 2035년으로 15년 앞당겼다”며 “이를 위해 공공주도 2.0 풍력개발 정책을 수립하고 추자도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등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7GW 구축과 발전량 70%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두 건의 기조발제가 진행됐다. 장다울 오션에너지패스웨이 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해상풍력 정책」을 주제로 정책 방향을 제시했고, 김범석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 해상풍력 보급과 산업 육성을 위한 현안과 과제」를 발표하며 높은 발전 단가, 출력 제한, 계통 부족 등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전남·충남 등 24.56GW 규모의 해상풍력 공급망을 기반으로 산업 연계와 이익 공유를 추진하는 ‘초광역 해상풍력–RE100 동맹’을 제안했다.
패널토론에서는 홍종호 서울대 교수의 진행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심진수 재생에너지정책관, 국회 입법조사처 유재국 팀장, 제주도의회 한권 의원, KBS제주 김익태 전 보도국장, 한국풍력산업협회 최덕환 실장, 루트에너지 윤태환 대표, 한국환경사회학회 김동주 기획이사 등이 참여해 제도 보완과 주민 수용성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윤태환 대표는 ‘제주형 지역수용성 모델 2.0’을 제안하며 도민 참여와 혜택 공유 구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주도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향후 에너지 정책에 반영해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모델을 발전시키고, 국가와 협력해 해상풍력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오 지사는 “공공성과 주민 수용성을 바탕으로 도민과 이익을 공유하고 제도적 걸림돌을 개선해 탄소중립 실현의 전국적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