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름철 고수온·적조 피해 선제 대응… 462억 투입해 현장 재난대책 본격 가동

- 양식장 사전점검·민관합동 훈련·장비 지원 강화… “어업인 현장 관리도 철저히”

- 양식장 사전점검·민관합동 훈련·장비 지원 강화… “어업인 현장 관리도 철저히”



전라남도와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여름철 고수온과 적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부터 피해 복구까지 현장 중심의 재난 대응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 고수온·적조 모의 훈련- 양식장 사전 점검. 제공=전남도

올해는 장마가 짧고 폭염이 빨리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수온 발생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전남도는 지난 4월부터 도내 양식장 3,318곳을 사전 점검하고 미비점은 즉시 개선하도록 했으며, 입식신고와 재해보험 가입도 적극 독려해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현장 지도를 강화했다.

특히 지난 6월에는 여수 남면 해상에서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민·관·경 합동 고수온·적조 모의훈련을 실시해 실전 대응 능력도 한층 높였다.

향후 고수온·적조 특보가 발령되면 전남도 종합상황실을 즉시 가동하고 피해 우려 해역에는 현장대응반을 배치해 상시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14개 시군에 462억 원의 예산을 지원해 산소공급기, 순환펌프 등 1만 1,466대, 액화산소 6,300톤, 면역증강제 463톤 등 대응 장비와 자재를 확보해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박영채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올여름 고수온·적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겠다”며 “특보 발령 시 먹이 공급 중단 등 양식 어가에서도 철저한 현장 관리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도 때 이른 폭염에 대비해 어업인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현장 예찰과 질병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남해·서해 연안 수온은 북태평양 고기압 강화로 평년보다 1도 가량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수온과 용존산소 수시 점검, 양식밀도 조절, 산소 공급장치 추가 설치, 사료 품질 관리, 비타민과 소화제·영양제 급이, 질병 조기 발견과 치료 등 구체적 대응 요령을 어업인에게 안내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전담 T/F팀 운영, 드론 활용 예찰, 실시간 수온 모니터링 정보 제공, 현장 즉시 검사 가능한 수산질병 진단키트 보급 등 종합 대응 체계도 함께 가동 중이다.

지난해 전남에서는 고수온으로 여수, 고흥 등 10개 시군 990어가에서 574억 원, 여수·순천 해역 472어가에서는 1,100만 마리, 288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어업인의 선제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