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26.~5.28.「2025 해양주간」으로 정하고, 다채로운 행사 개최
- 해양경제포럼·AI 기반 콘퍼런스 등 3일간 해양산업 비전 제시
- 부대행사로 부산항축제, 해양환경 캠페인, 바다사랑 전국 문예대회 등 마련
부산시가 오늘(26일)부터 28일까지 ‘2025 해양주간(OCEAN WEEK)’을 맞아 벡스코 등지에서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로 3회를 맞는 해양주간은 해양수산부, 해양 관련 공공기관, 기업, 연구기관 등이 한자리에 모여 대한민국의 해양산업 미래를 조망하는 종합 해양행사다.
해양주간의 포문을 연 개회식에서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해양수산부 차관, 시의회 의장, 교육감, 경제계 인사들이 참석해 행사 개막을 선언했다. 이어 열린 기관장 토크콘서트에서는 ‘대한민국의 미래와 해양-미래세대에 전하는 바다’를 주제로 해양 분야 교육·연구·산업 리더들이 해양의 비전과 역할을 논의했다.
이날 오후부터 이틀간 열리는 ‘해양경제포럼’에서는 ▲해양기능성 신소재의 경제적 가치 ▲북극항로와 관련 산업의 발전 전략이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28일 오전에는 해양 신산업의 최신 이슈를 다루는 ‘온라인 해양 콘퍼런스’가 웹 플랫폼(oceanweek.co.kr)을 통해 열린다. AI와 해양 빅데이터의 융합, 민간 선박금융의 활성화, 북항 개발이 핵심 주제로 다뤄지며, 시민 참여가 가능한 양방향 방식으로 진행된다.
같은 날 오후에는 부산 해양산업계 지도자들이 모이는 ‘해양산업 리더스 서밋’이 열린다. 세계 해양산업의 변화, 해양모빌리티, 빅데이터 등 신산업을 주제로 협력방안을 모색하며, 지역 해양산업 발전에 기여한 인사에게 ‘해양지도자 대상’도 수여된다. 수상자는 박인호 대표(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정제헌 연구소장(선보공업), 민경식 교수(한국해양대학교), 이영주 박사(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4명이다.
이밖에도 해양주간을 맞아 ▲제18회 부산항축제(5.30.~31) ▲해양환경 캠페인(6.7) ▲전국문예대회 등 시민 참여형 부대행사도 함께 열린다.
박형준 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해양은 첨단 산업이 융합된 미래의 성장 동력”이라며 “부산을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해 민관산학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