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운항선박법」 시행 후 첫 회의... 기술개발 로드맵·실증 특례 등 민관 협력 전략 논의
- 산업부·해수부 공동 주관… ‘디지털 해양’ 본격 추진 시동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의 미래형 선박, 자율운항선박(MASS)을 둘러싼 정부의 정책 수립이 본격화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9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자율운항선박법)」 시행에 따라 구성된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의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와 연계하여 개최되어, 디지털 해양 전환 흐름 속에서 대한민국의 기술적·정책적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상징적 의미를 더했다.
정책위원회는 산업부와 해수부 장관이 공동 위원장을 맡고, 기재부·과기부·행안부·중기부·해경청 등 정부위원 5명과 민간 전문가 6명을 포함한 총 13명으로 구성됐다.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방안 ▲자율운항선박 R&D 정책 방향 ▲법 시행 이후 중점 추진 업무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으며, 민간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식도 함께 진행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의 핵심”이라며, “조선 3사와 기자재 기업,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협의회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10년 로드맵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규제 샌드박스와 향후 실증 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해 업계 실증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고, 민관이 함께 ‘K-조선 원팀’으로 신시장 선점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까지 약 1,603억 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공동 추진 중이며, 오는 9월부터 1,800TEU급 자율운항 컨테이너선 실증이 예정되어 있다. HD현대는 8,000TEU급 원격제어 선박을, 삼성중공업은 SHIFT-Auto 자율운항 선박을 각각 실증 중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해양안전과 탄소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미래 해운물류의 전환점”이라며, “IMO의 국제표준 제정 과정에 우리의 기술과 경험이 반영되도록 국제 협력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또한 “기술 상용화를 위한 해운물류체계 개편, 전문인력 양성, 국내 제도 정비 등 중장기 전략을 연내 마련해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