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규모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기관 ‘서울핀테크랩’ 입주·멤버십 기업 2.4~3.7 모집
- 올해부터 해외 금융업 라이선스 획득 지원 신설…혁신금융서비스 지정 등 특화 멘토링 확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의 융합으로 핀테크 산업이 성장의 변곡점을 맞은 가운데, 서울시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향후 핀테크 산업을 선도할 스타트업 육성을 가속화한다.
서울시는 국내 최대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기관인 '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멤버십 기업 포함) 40개사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서울핀테크랩’은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서울시가 지난 2018년 금융중심지 여의도에 마련한 시설이다. 개관 이후 핀테크 스타트업 368개 사의 성장을 지원했으며, 2024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 5,665억 원, 투자유치 4,059억 원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모집 기간은 2월 4일(화)부터 3월 7일(금)까지며, 서울핀테크랩 누리집(seoulfintechlab.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입주대상자로 선정된 핀테크 창업기업에는 ▴공간 사용(입주기업 최대 3년, 멤버십 기업 최대 1년) ▴해외 진출 ▴투자유치 ▴맞춤형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시는 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성장단계에 따른 사업화 지원 ▴금융사와 개방형 혁신 연계 ▴규제, 마케팅, 노무 등 교육·멘토링 ▴국내외 투자자 대상 투자유치 지원 등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유망 핀테크 기업의 글로벌 진출 및 해외시장 개척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 금융업 라이선스 획득 지원을 신설하고,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등 특화 멘토링도 확대한다.
시는 해외 금융업 라이선스 획득 지원을 통해 국가별 필수 라이선스 신청 절차안내, 서류 준비 및 규제기관과의 소통 지원, 인증/허가 신청 과정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등을 도울 계획이다.
혁신금융서비스는 기존 금융서비스와 차별성이 인정되는 금융업 또는 이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규제적용 특례를 인정하는 제도다.
입주심사는 1차 서면평가와 2차 대면평가로 진행되며(멤버십 기업은 서면평가만 실시), 기술력·시장성·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4월 중 입주계약 및 입주설명회를 진행하며 5월부터 실제 입주가 가능하다.
아울러, 시는 서울핀테크랩의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입주 희망 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로, 오는 2월 19일(수) 오후 3시에 온라인 사전설명회를 개최한다. 사전설명회 참석 희망자는 서울핀테크랩(seoulfintechlab.kr)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