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류하천 관측망 대폭 확충… 수자원 관리·홍수 대응 역량 강화 기대
- 중소규모 지류하천 관측 확대 비롯해 144개 수위, 44개 유량지점 신규 반영
환경부 소속 한강홍수통제소(소장 김구범)는 지난해(2024년) 전국 수문관측소에서 조사한 수위, 유량, 강수량 등 수문자료 정보를 종합한 ‘2024 한국수문조사연보’를 7월 31일 발간한다고 밝혔다.

‘한국수문조사연보’는 1962년 ‘한국수문조사서, 수위편’을 시작으로 올해 63년째를 맞이한 국내 대표 수문자료 집계 보고서다. 매년 4대강 홍수통제소(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를 비롯한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농어촌공사 등 수문조사기관이 수집한 자료를 종합해 물재해 예방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연보에는 전국 2,349곳의 수문관측소에서 수집된 강수량(646곳), 수위(1,031곳), 유량(616곳), 유사량(34곳), 증발산량(13곳), 토양수분량(9곳) 등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수록됐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로 빈발하는 국지성 집중호우와 중소 지류하천의 홍수피해에 대비하고자 신설된 수위관측소 144곳과 유량관측지점 44곳의 자료가 올해 처음으로 반영됐다.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지류 단위 수문관측체계를 갖추게 됐으며, 지역 홍수 대응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강홍수통제소는 제2차 수문조사기본계획(2020~2029)에 따라 올해도 전국에 걸쳐 관측망을 지속 확충 중이다. 인공지능(AI) 기반 홍수예보 도입지점 223곳을 중심으로, 수위관측소 50곳과 유량관측지점 75곳을 추가로 신설할 예정이다.
‘2024 한국수문조사연보’는 오는 7월 31일부터 한강홍수통제소 누리집(hfrco.go.kr)을 통해 PDF 및 엑셀 형식으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김구범 한강홍수통제소장은 “기후위기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진 물재해 대응을 위해서는 정밀하고 과학적인 수문자료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연보가 수자원 변화 예측과 효율적인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든든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