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9개 권역에 ‘마리나항만 예정구역’ 40개소 지정
- 2029년까지 전국 항만구역 정비·선박 수요 대응…거점형 마리나 10곳 확정
해양수산부가 해양레저 수요 급증에 대응해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2020~2029)’을 확정 고시했다. 코로나19 이후 야외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양관광과 마리나선박 시장 확대에 맞춘 대응책이다.
기존 계획이 수립된 2020년 이후 변화한 해양레저 트렌드와 레저보트 등록 증가 추세, 항만 개발 수요 등을 반영해 전면 재조정됐다. 수정계획은 등록 마리나선박이 2034년까지 4만3천 척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 확대가 핵심이다. 2023년 기준 마리나 선박은 약 2만6천 척으로,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선석 비율은 16.3%에 불과하다.
이번 계획에는 전국 마리나항만구역 및 예정구역의 대대적인 조정도 포함됐다. 기존 8개였던 마리나항만구역은 여수 웅천, 안산 방아머리 등 ‘국가지원 거점형 마리나’ 2곳이 추가되며 10개소로 늘었다. 반면 예정구역은 중복 지정이나 개발 완료 등을 이유로 70개소에서 40개소로 대폭 축소됐다.
이는 실제 수요 기반의 실효성 있는 개발로 전환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반영한 조치로, 혼선 방지와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으로도 해석된다.
해양수산부는 향후 마리나 개발에 있어 민간 참여 유도와 함께, 마리나 산업과 문화를 동시에 육성하는 전략도 병행할 계획이다. 거점형 마리나 조성과 함께 지역 해양관광 콘텐츠를 결합한 복합 해양레저 거점으로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변화하는 국민의 해양레저 수요에 부응하고, 현장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마리나항만이 단순한 계류시설이 아닌 해양문화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