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해양환경 인식증진을 위한 민·관·공 ESG 논의
- 민관공 12개 기관 참여…이동교실·체험시설로 제주 해양환경 인식 확산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이사장 강용석)은 7월 22일 제주도에 본사를 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등 12개 기관과 함께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해양환경 보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교육’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번 논의에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제주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공무원연금공단, 한국공항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 등 공공기관과 롯데관광개발, 호텔신라, 제주은행, KT, KTCS, 제주관광협회 등이 함께한다.
연간 1,300만 명이 찾는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여섯 곳의 해양보호구역을 보유한 청정 해양관광지로, 해양환경 보전은 지역 경제와 직결된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특히 최근 기후 위기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태풍 피해 등으로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와 보호 실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그간 블루카본, 해양보호생물 등 분야에서 민간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성과를 창출해 왔으며, 올해는 공공기관까지 참여 대상을 확대해 제주형 해양환경 이동교실과 폐교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교육·체험시설 운영 방안 등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은 “이번 논의는 민간과 공공이 함께 해양환경 가치를 확산하고 ESG 실천 기반을 넓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협력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