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부산 산업단지 공급용수 공급 및 부산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방안 보고회 개최
- 인근 하수처리장의 방류 하수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에서 여과 처리해 공업용수 생산
부산시가 동부산 산업단지의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해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을 활용한 공업용수 공급 방안을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이날 오후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동부산 산업단지 공업용수 공급 및 부산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방안’ 보고회를 열고 최적의 공급 방안을 논의했다. 보고회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시의원, 수요기업 관계자, 동부산 산단 발전협의회, 맑은물산업진흥협회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급 방안은 기장·일광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이용해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부울경 지역에서 처음 도입된다. 현재 서부산 산업단지는 톤당 1,140원의 공업용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동부산 산단에는 공업용수 공급이 없어 입주기업들이 생활용수(톤당 2,410원)를 써야 하는 부담이 컸다. 이에 시는 지난해부터 대책을 마련해왔다.

부산시는 기존 상수원을 활용하는 3개 방안과 하수처리수를 이용하는 2개 방안을 검토한 끝에,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최적안으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사업비 799억 원을 투입해 송수관 24㎞를 설치하고, 해수담수화시설의 역삼투 시설을 개보수해 하루 3만6천 톤의 공업용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공급단가는 톤당 800원으로 책정돼 기업 부담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아울러, 해수담수화시설 일부(9천 톤 규모)는 물 산업 연구개발(R&D) 및 기술 검증 실증시설로 조성해 해수담수 기술 고도화, 염도차 발전, 수소 생산 등 첨단 물산업 분야 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동부산 산단 입주가 완료되는 2030년 공업용수 공급 개시를 목표로 수요기업과의 업무협약 체결, 국비 확보, 민간투자사업(BTO) 사업자 선정 등의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동부산 산단에 안정적인 공업용수를 공급하면서 수자원 순환 이용을 실현하는 혁신적인 방안”이라며 “이번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부산을 글로벌 물산업 허브 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