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과원, 국내 최초 우리나라 전 해역 항공 조사 결과 발표, 8종 3,698마리 확인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항공기를 이용하여 고래 조사(항공 목시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8종 3,698마리의 고래류를 발견했으며, 올해에는 조사 범위를 방공식별구역까지 최대한 확대해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항공 목시조사는 수과원 고래연구소가 동해, 서해, 남해에 서식하는 다양한 고래류의 개체 수와 서식지를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수행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 해역을 대상으로 실시 한 조사는 2024년 조사가 처음이다.
2024년 조사 결과, 가장 많이 발견된 고래류는 참돌고래로 총 2,362마리가 확인되었으며, 이어 상괭이가 서해에서 905마리, 남해에서 128마리 발견되었다. 또한, 동해 연안에서는 참돌고래가, 먼바다에서는 큰머리돌고래가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괭이는 서해 먼바다와 남해 연안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며, 특히 번식기인 봄철에는 서해 전역에 넓게 서식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해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항공 목시조사에서 큰머리돌고래 207마리와 향고래 2마리가 발견되면서 수심이 깊은 해역에서도 항공 목시조사가 효과적이라는 점이 입증되었다.
해역별 발견 고래류 · (동해) 참돌고래 6군 2,362마리, 큰머리돌고래 16군 207마리, 밍크고래 1군 1마리, 향고래 1군 2마리, 상괭이 2군 2마리, · (서해) 상괭이 647군 905마리, 밍크고래 1군 1마리, 큰돌고래 1군 50마리, · (남해) 상괭이 84군 128마리, 남방큰돌고래 3군 36마리, 흑범고래 1군 3마리, 큰머리돌고래 1군 1마리 |
수과원 고래연구소는 2025년에도 항공 목시조사 해역을 방공식별구역까지 최대한 확대해 실시할 예정이며, 고성능 카메라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고화질 영상 자료를 확보하고, AI 분석 기법을 개발해 종 식별의 정확성과 속도를 대폭 향상시키는 등 항공 목시조사를 첨단화할 계획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대규모 항공 목시조사 확대를 통해 우리나라 고래류의 분포와 개체군 평가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항공기와 AI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조사 범위를 이어도 인근까지 확대하는 등, 우리나라 고래류 보존을 위한 개체군 평가 및 생태 연구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