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과 도심을 연결하는 하늘길 명소 10월에 열린다

- 서울시, 올해 10월, 무장애 데크길·전망대를 갖춘 ‘남산 하늘숲길’(1.43km) 개방
- 보행 안전·접근성 강화를 위해 연결안전데크(0.5km)·북측 숲길(0.5km) 조성

- 서울시, 올해 10월, 무장애 데크길·전망대를 갖춘 ‘남산 하늘숲길’(1.43km) 개방
- 보행 안전·접근성 강화를 위해 연결 안전데크(0.5km)·북측 숲길(0.5km) 조성



서울시는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남산을 즐길 수 있도록 ‘남산 하늘숲길’을 조성하고, 2025년 10월 개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림청과의 공동산림사업으로 추진되며, 기존의 가파른 경사와 협소한 보행로를 개선하여 보행약자를 포함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1.43km 길이의 무장애 숲길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숲길에서는 바닥을 보면 나무뿌리가 툭툭 튀어나온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답압’ 현상, 즉 사람들이 많이 다니면서 토양이 침식되고 단단하게 눌려 나무 뿌리가 지표면으로 드러나는 현상 때문이다. 이 답압 현상이 지속되면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생육이 어려워지고, 결국 자연이 훼손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나무데크를 설치해 숲길을 조성할 예정이다. 데크를 조성함으로써 나무뿌리를 보호하고, 토양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탐방객들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남산을 오를 수 있다.


또한, 데크를 들어 올려 설치하는 방식을 적용해 자연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보행자의 편의를 고려한 친환경 탐방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남산 하늘숲길은 용산구 후암동 체력단련장에서 남산도서관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기존 등산로보다 더욱 편안하고 매력적인 산책길로 조성된다. 특히, 기존 숲길의 급경사를 완만한 데크길로 정비해 어린이, 노인, 휠체어 이용자 등 보행약자도 부담 없이 남산을 오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남산의 자연환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조망 공간과 다양한 탐방 포인트를 숲길 곳곳에 배치하여 자연 속에서 걷고, 보고, 쉬고, 체험을 한번에 경험할 수 있는 트레킹 코스를 조성한다.



기존의 남산 남측순환로(팔각안내센터~체력단련장) 구간은 보도 폭이 2m로 협소하여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혼재되면서 충돌 위험이 높았던 구간이다. 이에 서울시는 보행 전용 데크(0.5km)를 추가 설치하여 보다 넓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연결안전데크가 완성되면 보행자는 차량과 완전히 분리된 공간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남산 하늘숲길과 연계해 더욱 다양한 경로로 남산을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보행 네트워크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남산 정상부의 혼잡을 완화하고 명동에서 정상부까지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남산 북측 숲길(0.5km)’도 함께 조성된다. 이 숲길은 N서울타워에서 북측순환로를 거쳐 예장공원까지 연결되는 총 1.3km의 탐방로로, 기존보다 더욱 효율적인 동선으로 남산을 오를 수 있도록 개선된다.


북측 숲길에는 보행데크와 정원이 마련되어 있어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남산을 탐방할 수 있으며, 바람전망대에서는 서울 도심과 북한산의 웅장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숲길 조성 과정에서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친환경 공법을 적극 적용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숲길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산림청과의 공동산림사업 협약을 통해 추진된다. 국유림의 공익적 기능을 극대화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산림청이 국유림을 무상 제공하고, 서울시가 사업비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협력한다.

이를 통해 도심 속에서도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 숲길을 조성하고, 산림 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조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