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생명자원, 이제 한눈에!

-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전면 개편
- 활용성·편의성·신뢰성 높여 수산바이오 연구·산업 활용 기반 마련

-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전면 개편
- 활용성·편의성·신뢰성 높여 수산바이오 연구·산업 활용 기반 마련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은 수산생명자원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를 전면 개편해 오는 14일부터 새롭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 서비스 이용 범위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는 국내에 분산돼 있던 수산생명자원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2012년 수과원이 책임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꾸준히 관리·운영돼 왔다. 현재 보유한 정보는 약 18만여 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 수산생물 정보 제공

이번 개편에서는 활용성, 편의성, 신뢰성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기존에는 생물 종 단위의 유전자 서열 정보만 제공했다면, 앞으로는 주요 수산자원의 ▲지역별 ▲시기별 유전적 변이 정보(유전 다양성)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물 종의 생존력과 적응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 모바일 접근 화면

스마트폰을 통한 접근성과 신청 절차도 한층 간소화했다.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개선해, 자원 분양 신청부터 활용성과 등록, 신청상태 확인까지 전 과정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과원의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 기능도 추가됐다.

정보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비도 진행됐다. 자원의 이름, 분류체계, 형태 등 핵심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국가해양수산생물종목록’ 및 ‘자원 통계자료집’과도 데이터 구조를 일치시켜 정확도를 높였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이번 개편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수산생명자원의 가치를 높이고 활용 기반을 넓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향후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해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강화하고, 수산바이오 연구 지원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