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MSA, 임직원 대상 수준별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교육 추진
-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행정서비스 디지털 전환 발판 마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와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5~6월 AI 실무역량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에는 선박검사, 여객선 운항관리 행정서비스 개발, 해양교통안전 연구개발(R&D) 등을 담당하는 본사 임직원 1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공단은 교육에 앞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약 90%가 생성형 AI 사용 경험이 있으며, 약 70%는 데이터 분석·시각화 품질 개선, 업무 자동화, 창의적 보고서 생성 등에 AI가 활용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공단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행정서비스 고도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공단은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의 해양사고 빅데이터 분석 및 해상 교통량 예측 ▲카카오톡 기반 챗봇 ‘해수호봇’의 24시간 고객 상담 기능 ▲지능형 CCTV 및 드론을 활용한 연안여객선 안전운항관리 사업 등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분석형 AI를 활용하는 초기 단계로, 공단은 향후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행정서비스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임직원의 실질적인 AI 기술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DX) 학습동아리’를 신설하고, 우수 사례 중심의 사내 해커톤 대회를 개최한다. 아울러,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통해 AI 기술 활용 윤리 의식을 높이고, ‘생성형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책임 있는 기술 활용 문화를 조성할 방침이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국내 주요 기업과 정부 기관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 혁신이 확산되는 가운데, 공단도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국민에게 더 높은 수준의 해양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