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시군·수협 등과 수산업 발전 모색

- 2025년 주요 정책 공유하며 현장 중심 건의 사항 수렴

- 2025년 주요 정책 공유하며 현장 중심 건의 사항 수렴



전라남도는 21일 도청에서 도, 시군, 수협, 수산업경영인회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해양수산관계관 회의를 열어 해양환경 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회의에서 전남도는 올해 ‘지속가능한 해양수산 생태계 구축, 전남 미래 경제 선도’라는 목표 아래 ▲지속가능한 어촌어장 관리 ▲활력넘치는 해양 수산 환경 조성 ▲혁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산업화 ▲부가가치를 높이는 미래 산업 육성 4대 추진방침과 10개 추진시책을 설명하고 시군, 유관기관의 협력을 당부했다.

또한 최근 선박 관련 대형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사전 안전점검과 대응 매뉴얼 정비를 협의하고, 목포시를 비롯한 16개 연안 시군과 유관기관의 제도 개선, 예산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시군, 유관기관에서는 ▲이상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책 건의(여수시) ▲여자만 국가해양생태공원 국비 확보(순천시) ▲녹동신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고흥군) ▲유해생물(해파리) 구제사업 지원금 인상(보성군) ▲마른김 가공업체 시설개선 지원 확대(장흥군) ▲김 활성처리제 지원 확대(강진군) ▲전복 가두리 감축 사업 도비 지원(완도군) ▲기선권현망 조업금지구역 조정(진도군) ▲어구·부표 보증금제 확대 시행(신안군) 등 총 37건의 해양수산 분야 현안과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수산업 환경변화와 귀어·귀촌 유입 확대 등 어촌이 직면한 다양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영채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최근 물가 상승에 다른 경영비 증가, 수산물 소비 위축 등 여러 요인 때문에 어업인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고부가가치 수산물 생산, 어업 현장의 스마트화·자동화 도입 등 현장 맞춤형 정책을 적극 개발하고 시군, 유관기관과 함께 해양수산 발전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2025년 달라지는 주요 시책은 ▲어업규제완화 시범사업 추진(TAC 중심 도입) ▲양식면허 심사·평가제 시행 ▲배합사료 직불제 지원 확대(해수면 전제 어종) ▲어선원 재해보험 가입대상 확대(전체어선 당연가입) ▲수산식품 국제식품인증 취득지원 예산 확대(2억원) ▲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 참여시장 확대 ▲도내 해양수산 전시관 무료 관람 대상 확대(2자녀 이상) 등이다. 전남도는 새 시책이 빠르게 정착되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