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성장과 회복의 시간, ‘2025년 청년인문교실’ 수업 시작

- 여주(8. 1.)를 시작으로 수원, 안동, 울산, 울진, 평택 등 6개 지역에서 운영
- 지자체, 민간 단체와 협업해 다양한 청년 특성에 맞는 인문 프로그램 기획

- 여주(8. 1.)를 시작으로 수원, 안동, 울산, 울진, 평택 등 6개 지역에서 운영
- 지자체, 민간 단체와 협업해 다양한 청년 특성에 맞는 인문 프로그램 기획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예술위)와 함께 ‘2025년 청년인문교실’ 사업을 8월 1일(금), 경기도 여주시를 시작으로 전국 6개 지역(경기도 수원시·여주시·평택시, 경상북도 안동시·울진군, 울산광역시)에 있는 ‘인문행복센터’에서 운영한다.



문체부와 예술위는 이번 사업을 기획하면서 지역 인문 공간인 ‘지관서가*를 예술위, 지자체, 재단법인 지관 간 업무협약을 통해 ‘인문행복센터’로 지정했다. 또한 지역의 고립·은둔 청년, 청년 양육자 등 다양한 상황에 있는 청년을 비롯해 교사와 간호사, 소방관, 군인 등 우리 사회 필수직업군에 재직하고 있는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청년재단, 청년미래센터 등 지역 청년정책 유관 기관과 협업해 사업을 준비했다.

프로그램 주제와 내용도 청년층의 상황별・직업별 특성을 고려해 민간, 지자체 등 협력 주체들과 함께 기획해 수준 높고 다채롭게 구성했다. 8월과 9월에는 ▴고립이 걱정되는 청년을 위한 책을 매개로 한 성찰과 치유프로그램(울산), ▴열등감과 타인과의 비교로 힘든 청년을 위한 인문 심리 프로그램(수원), ▴청년 양육자를 위한 가족 인문 활동(평택)을 운영한다. ▴삶을 성찰하고 위로와 회복의 힘을 얻는 인문 프로그램(여주), ▴제3의 공간에서 환대와 연대를 경험하는 대화 프로그램(울진)도 만나볼 수 있다.

10월과 11월에는 ▴청년미래센터와 협력한 고립 청년을 위한 연수회(울산), ▴청년 교원의 소진 예방 및 탈진 증후군(번아웃) 극복 프로그램(수원), ▴군무원·군인의 외로움 극복 프로그램(평택), ▴소방대원(안동)과 해양경찰(울진)의 사고 후유 장애(트라우마) 회복 및 치유를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청년층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과 활동을 지원한다. 전체 프로그램과 세부 일정, 신청 방법 등은 인문360(www.inmun360.kr)과 지관서가(www.jigwanbooks.com)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