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사업비 11.6조 원 투입… 공공주도·집적화단지·운영부두까지, 에너지 전환 총력전
태안군(군수 가세로)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지역 위기 극복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해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군은 탄소중립 실현과 지역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해상풍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군은 현재 총 11조 6천억 원을 투입해 태안 앞바다에 1.4GW 규모의 3개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며, ▲‘태안 풍력’(2021) ▲‘가의 해상풍력’(2023) ▲‘서해 해상풍력’(2024)이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하고, 관계기관과의 인허가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추진하며, 산업부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지원 사업에 선정(43억 5천만 원 확보), ‘제1기·제2기 민·관협의회’ 구성 등 체계적인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집적화단지 지정 시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최대 0.1) 부여 등 인센티브를 통해 수산업 지원 및 주민복지 확대도 가능해진다. 군은 이달 중 ‘제6차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산업부에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또한, 해상풍력 단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운영·관리 부두’를 2029년까지 태안항에 조성한다. 해당 부두는 발전기 점검과 유지관리의 중심기지가 될 예정으로, 군은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에 ‘제4차 항만 기본계획’ 반영을 요청,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태안군은 지금까지 이장단·어업인 등 지역 주민 대상 15차례 설명회를 개최하며 수용성 확보에도 힘쓰고 있으며, 향후 민·관협의회 운영 내실화와 주민 의견 적극 반영을 약속했다.
조상호 태안군 미래에너지과장은 “당초 5개 단지 중 2개는 특별법 적용에 따라 추진 시기를 조정하게 됐다”며, “태안화력의 단계적 폐지라는 위기를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 전환의 기회로 삼아 공직자들과 함께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