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50년 숙원, 드디어 정부 계획에…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국정과제 포함

- 13일 국정기획위 발표, 해상교량 및 석탄화력 조기 폐쇄지역 특별법 제정 지원 포함
-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 대응·부남호 생태 복원 등 태안군 건의 4건 반영…지역 발전 ‘속도’

- 13일 국정기획위 발표, 해상교량 및 석탄화력 조기 폐쇄지역 특별법 제정 지원 포함
- 노후 석탄화력 조기 폐쇄 대응·부남호 생태 복원 등 태안군 건의 4건 반영…지역 발전 ‘속도’



태안군민의 오랜 숙원 사업인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공식 포함됐다.


▲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국정과제 반영. 사진=태안군 제공
태안군은 13일 정부 발표에서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석탄화력 폐쇄지역의 재생에너지 중심지 전환 △부남호 생태계 복원 등 4건의 군 관련 과제가 국정과제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는 태안군이 건의한 대통령 공약 6건 중 4건이 채택된 성과다.

가로림만 교량 건설은 태안군 이원면 내리 만대항과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를 연결하는 연장 5.3km(해상교량 2.5km·접속도로 2.8km) 규모로, 총 사업비는 약 2,647억 원이 소요된다. 올해 초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포함됐으며, 지난 7월 국지도 96호와 지방도 603호가 국도로 승격되면서 교량 건립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는 태안화력 1~6호기의 단계적 폐지로 인한 인구 감소와 경제 손실에 대비한 것으로, 군은 특별법 제정과 대체 산업 유치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부남호 생태 복원 역시 해수유통을 통한 생태계 회복과 지역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세로 군수는 “태안군민의 간절한 염원을 국정과제에 반영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가로림만 해상교량을 비롯한 핵심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