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년차 민간협력사업, 어촌체험휴양마을 4개소 특화 콘텐츠 개발
한국어촌어항공단(이사장 홍종욱, 이하 공단)은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어촌지역의 실질적 변화와 경제적 회복을 이끄는 ‘민간기업 협업 소득증진사업(이하 민간협력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공단은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긍정적 사례와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공모에 선정된 어촌체험휴양마을 4개소에 대하여 마을별 지역자원을 활용한 민간비즈니스모델 기반의 새로운 관광모델을 본격 개발하고 상품화를 추진한다.
2024년 공단은 민간기업과 함께 어촌의 바다경관, 수산물 먹거리 등을 활용하여 트렌드에 맞는 취미‧취향 중심의 특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점차 세분화 되고 있는 관광수요에 따라 마을별 특색을 살려 바다라면카페, 어촌공유서재, 해안길 자전거코스 등을 선보이며 기존 어업기반의 체험 외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각화했다.
특히, 올해 공단은 민간기업과 손을 잡고 민간의 전문 인력, 사업 아이템, 체계적인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어촌의 현안을 해결하고, 마을에 필요한 특화 콘텐츠를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된 모델은 마을과 기업이 지속적으로 공동 운영하며, 수익을 분배하는 등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며 지속 가능한 상생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전망이다.
올해 대상지는 △충남 보령 군헌어촌체험휴양마을, △부산 기장군 공수어촌체험휴양마을, △경남 통영시 두미남구어촌체험휴양마을, △경남 거제시 옥계어촌체험휴양마을 등 총 4개소다.
먼저, 군헌마을은 지역특산물 바지락을 활용해 새로운 바지락라면 레시피를 개발하고, 어촌현장 푸드트럭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미식관광을 추진한다. 공수마을은 도시형 어촌으로 지역내 학교‧호텔과 연계한 체험 패키지를 구성하고, 희극적 바다해설을 가미한 이색경험을 선사한다.
두미남구마을은 청명함이 가득한 섬지역으로 트래킹 장소로도 유명하다. 야외 도서함을 트래킹길 일부 구간에 설치하여 사유의 길을 조성하고 창작, 독서, 치유 등을 목적으로 둔 사유여행을 상품화한다. 옥계마을은 이색적 마을 분위기에 따라 외국인 대상의 1-Day 체류형 경험 콘텐츠를 구성‧제공하며 K-어촌으로 브랜딩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공단의 사업비 지원 외, 어촌마을은 지역 내 관광자원과 유휴공간 등을 제공하고, 민간기업은 추가적인 자본투자와 협찬유치로 사업에 힘을 싣는다. 또한, 관계기관인 해양환경공단에서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을 통해 상품화를 돕는 등 어촌지역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았다.
홍종욱 공단 이사장은 “고령화, 공동화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어촌에 민간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하고, 마을주민이 참여하여 새로운 변신,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간다는 점에서 민간협력사업의 의미가 크다.”라며, “단순 개발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판로개척 등 상품화하여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