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오세훈 시장, 호주 ‘시티캣’ 현장 점검…한강버스 안전운항 준비 박차

- 브리즈번 수상교통 노하우 벤치마킹…9월 정식운항 전 최종 보완

- 브리즈번 수상교통 노하우 벤치마킹…9월 정식운항 전 최종 보완



서울시가 오는 9월 정식 운항을 앞둔 한강버스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세계적인 수상교통 운영사례를 현장에서 직접 살펴봤다.


▲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화) 오후 <현지시간> 30년 역사의 호주 브리즈번 수상버스 ‘시티캣’에 탑승해 브리즈번시 관계자로부터 정시운항 경험과 안전관리 방안 등을 청취하고 있다. 오 시장은 시티캣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강버스 정식운항 전까지 개선점을 발굴하고 보완사항을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8일(현지시간)부터 9일까지 호주 브리즈번을 방문해 30여 년간 운항 중인 수상버스 ‘시티캣(CityCat)’의 운영 현황과 안전관리, 활성화 방안을 점검했다. 이번 출장에서는 브리즈번 시청에서 정책 브리핑을 받고 실제 ‘시티캣’에 직접 탑승해 현장을 확인하며 한강버스 운영에 적용할 개선점을 찾았다.

브리즈번강을 가로지르는 ‘시티캣’은 1996년 첫 운항을 시작해 현재 27대가 약 20km 구간, 19개 선착장을 오가며 시민들의 출퇴근 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시티캣’은 버스·철도와 함께 브리즈번의 핵심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잡았으며, 관광객에게도 인기 있는 체험 코스로 손꼽힌다.

한강버스는 ‘시티캣’과 유사한 완류 하천 구간을 운항하며, 정원과 속도, 교통카드 결제방식, 자전거 거치대·휠체어석 등 편의시설도 비슷하다. 현재 한강버스는 155199인승 선박 12척(하이브리드 8척·전기 4척)을 투입해 마곡잠실 구간 약 31.5km를 운항할 예정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15분 간격으로 마곡, 망원, 여의도, 옥수, 압구정, 뚝섬, 잠실 등 7개 선착장을 연결한다.

오 시장은 이번 방문에서 수상교통 정착을 위한 브리즈번시의 대중화 전략과 안전관리 체계를 살펴보고, 서울 여건에 맞춰 보완할 부분을 꼼꼼히 점검했다. 서울시는 브리즈번 사례를 참고해 정식 운항 전까지 안전 점검과 서비스 개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한강버스는 서울 한강 유역에 처음 도입되는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으로, 하이브리드 선박의 경우 디젤 엔진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52% 줄일 수 있다. 탑승권은 3,000원으로 책정됐으며, 기후동행카드 사용과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가능하다.

또한 파노라마 창과 전 좌석 개인 테이블, 선내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편의시설로 출퇴근길에 쾌적한 이동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오 시장은 이번 출장 기간 중 방치된 항구 부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한 ‘하워드 스미스 부두(Howard Smith Wharves)’와 스토리 브리지(Story Bridge) 등 브리즈번 대표 수변 개발지에서 시민 일상 혁신 아이디어도 살폈다. 이외에도 현대로템 브리즈번 전시장 방문과 교민 간담회를 통해 현지 교민과 소통하는 시간도 가졌다.

오세훈 시장은 “한강버스가 서울의 새로운 친환경 수상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끝까지 꼼꼼히 점검하겠다”며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항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