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 지키는 어벤져스 인천에 모이다

- 극지연, 11일부터 사흘간 남극 게츠 빙하 협력 연구를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 극지연, 11일부터 사흘간 남극 게츠 빙하 협력 연구를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는 오늘(11일)부터 사흘간 빠르게 녹고 있는 남극 게츠 빙하를 주제로 국제 워크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남극 아문젠해에 위치한 게츠 빙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지난 25년간(1994~2018) 녹는 속도가 평균 23.8% 급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유실된 빙하량은 315기가 톤에 달하는데, 이는 에베레스트산 약 2개와 맞먹는 무게이다.

극지연구소 이원상 박사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취약해진 게츠 빙하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공동 연구와 탐사 프로그램 개발 등 국제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GOAT* 워크숍을 마련했다.

* Getz-Ocean interactions: sentinel of Antarctic Transition to a warming climate (GOAT)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는 Huw Horgan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박사, Anna Wåhlin 스웨덴 예테보리대학교 교수 등 앞서 세계 기후 회의를 개최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섰던 각국의 대표 연구자들을 포함해 8개국 18명의 국내·외 남극 빙하 전문가가 참석한다.


워크숍에서 논의된 과학연구를 국내외 정책 대응 전략 수립과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부분도 특징적인데, 관련분야 권위자인 Daniela Liggett 뉴질랜드 캔터버리 대학 교수가 주도로 이뤄질 전망이다. 김예동 한국극지연구위원회 위원장은 축사에서 게츠 빙하 연구의 중요성과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 (좌측 상단부터) 글래스고 빙하, 인천 빙하, 파리 빙하, 스톡홀름 빙하, 발리 빙하, 교토 빙하, 베를린 빙하, 리오 빙하, 제네바 빙하

게츠 빙하는 14개 빙하로 나뉘며, 이 중 9개 빙하는 “인천 빙하” 등 각국 도시명으로 불린다. 2021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의미 있는 도시의 이름을 빙하에 부여한 것인데, 영국 글래스고, 프랑스 파리 등과 함께 2018년 기후회의를 개최한 인천도 여기에 포함됐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국제협력 연구 활성화를 넘어, 이번 워크숍이 빠르게 녹아내리는 남극 게츠 빙하의 현실을 대중에 알리고 국가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빠르게 사라지는 남극 빙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극지연구는 기후변화 대응 행동 촉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극지연구소는 앞으로도 범국가적인 협력으로 기후변화 대응 연구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